Categories
Linux
APT로 설치한 앱이 메뉴에 안 보일 때? Alacarte로 해결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APT로 앱을 설치했지만 메뉴에 보이지 않는 문제? Alacarte를 사용하면 손쉽게 GUI 앱 항목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메뉴 통합이 안 될 때 유용한 팁!
APT vs Snap: 리눅스 패키지 시스템 비교와 선택 기준
APT와 Snap은 리눅스에서 애플리케이션 설치를 위한 대표적인 방식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시스템의 차이점과 사용자 유형별 추천 기준을 정리했습니다.
창고 속 오래된 PC, 다시 부활하다 – 리눅스 듀얼부팅 설치기
정품 윈도우와 오래된 PC를 포기하지 않고 리눅스와 멀티부팅을 성공한 실전 경험기. BIOS와 UEFI의 충돌을 극복한 해결과정.
하이버네이션이 뭐길래? 윈도우 전원 관리 기능의 빛과 그림자
윈도우의 하이버네이션과 Fast Startup 기능의 작동 원리, 장단점, 그리고 리눅스 듀얼부팅 환경에서의 충돌 문제까지 깊이 있게 분석합니다.
Linux 서버를 지키는 수호자, Fail2Ban
Fail2Ban을 활용한 Linux 서버 보안 강화 방법. 설치법, 설정 사례, 모니터링 및 영구 차단까지 상세히 안내합니다.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데스크탑 원격 전원 켜기(Wake-on-LAN 자동화)
라즈베리파이를 활용해 데스크탑의 전원을 원격으로 켜는 Wake-on-LAN(WOL) 자동화 방법을 소개합니다. BIOS, 리눅스 설정부터 매직패킷 송신까지 단계별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Ubuntu에서 DNS 리졸버 구조의 이해
Ubuntu에서 systemd-resolved 기반 DNS 리졸버의 구조를 이해하고, /etc/resolv.conf와 관련된 핵심 구성 파일들의 역할을 학습합니다. KT DNS의 불안정성 사례를 바탕으로, 신뢰성 높은 DNS 설정법과 문제 해결을 위한 실전 팁을 제공합니다.
Ubuntu 시스템에서 OTF 폰트를 웹용으로 활용하는 방법
Ubuntu에서 시스템에 설치된 OTF 폰트를 웹용 woff2 형식으로 변환하고 적용하는 전체 과정을 예제와 함께 설명합니다.
TTF vs WOFF2: 웹 폰트 포맷 비교
TTF와 WOFF2의 차이점, 성능 비교, Ubuntu에서 변환 방법 및 자동화 스크립트를 설명하는 웹 폰트 가이드.
CSR 4.0 동글의 진실과 한계, 그리고 리눅스에서의 대안
This post explores the limitations of CSR 4.0 Bluetooth dongles and presents better Linux-compatible alternatives using Realtek Bluetooth 5.4 chipsets.
Redis 최신 AOF-RDB Hybrid 방식 vs 기존 AOF 방식: 어떤 방식을 선택해야할까?
Redis 7.0 이상에서 도입된 AOF-RDB Hybrid 방식과 기존 AOF 방식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실무에서 어떤 방식을 선택해야 하는지 가이드합니다.
AOF를 사용하면, RDB 설정은 무의미한가?
Redis AOF와 RDB를 함께 사용하는 이유와 각자의 역할을 정리합니다. 운영 환경에서 왜 두 가지를 함께 설정해야 하는지 설명합니다.
Redis AOF Rewrite: 성능 최적화와 데이터 보존
Redis AOF Rewrite 설정을 통해 성능을 최적화하고 데이터 복구 속도를 높이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운영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AOF를 관리하는 팁을 제공합니다.
Redis 네트워크 보안 설정: 안전한 Redis 환경 만들기
Redis 네트워크 보안 설정을 강화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IP 제한, 보호 모드, 포트 설정, 클라이언트 연결 제한 등 안전한 Redis 환경을 구축하세요.
Redis 모듈 설정: 기능 확장과 활용법
Redis 모듈 설정을 통해 기능을 확장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검색, JSON 저장, 시계열 데이터, 머신러닝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왜 Redis 설정 파일에서 include를 써야 할까?
Redis 설정 파일에서 include 명령어를 활용해 설정을 유연하게 관리하는 방법과 장점을 다룬 글입니다. 서버별 환경에 맞는 설정 분리가 가능해집니다.
localhost가 127.0.0.1이 되는 원리, 그리고 `/etc/hosts`의 활용법
localhost가 127.0.0.1로 연결되는 원리를 깊이 탐구! /etc/hosts 파일의 작동 방식, 네트워크 해석 과정, 그리고 개발 환경에서 이를 활용하는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세요.
Redis 3편: Redis의 메모리 관리와 성능 최적화
Redis는 메모리 기반 데이터 저장소로, 메모리 관리가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글에서는 Redis의 maxmemory, maxmemory-policy, TTL 설정, 메모리 모니터링 명령어 등을 활용한 최적화 방법을 소개합니다.
Redis 2편: Redis의 데이터 보존 옵션 - RDB vs AOF
Redis는 메모리 기반 데이터 저장소로 기본적으로 휘발성이지만, RDB와 AOF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RDB와 AOF의 차이점, 설정 방법, 장단점을 비교하고, 두 방식을 동시에 활용하는 최적화 방법을 소개합니다.
Redis 1편: Redis 기본 개념과 설정 파일 이해하기
Redis는 빠른 데이터 처리를 위한 메모리 기반 NoSQL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이 글에서는 Redis의 기본 개념, 주요 설정 파일인 redis.conf, 그리고 최적화 설정 방법을 상세히 다룹니다.
Linux Daemon과 Systemd 유닛의 개념과 차이점
리눅스의 데몬(Daemon)과 systemd 유닛(Unit)의 개념과 차이를 설명합니다. 백그라운드 서비스와 systemd의 다양한 유닛 유형을 이해하고, 시스템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배워보세요.
리눅스 `crontab` 제대로 이해하기: 개발자가 사랑하는 자동 스케줄링 꿀팁
Linux의 crontab을 활용하여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crontab의 기본 명령어, 형식, 실행 주기 설정 예제, 그리고 효율적인 스케줄링 팁을 배워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