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메일 서버 구축
리눅스에서 메일 서버 구축하기: 쉬어가는 페이지
메일 서버 구축을 하면서 느낀 고충과 고민을 공유하는 쉬어가는 페이지. 고군분투하는 모든 이들에게 보내는 메시지.
리눅스에서 메일 서버 구축하기 #7: Postfix 설정 파일 구조와 데이터베이스 연동
Postfix 설정 파일 구조 및 주요 역할을 설명하고, PostgreSQL을 사용한 데이터베이스 연동 방법을 다룹니다. virtual_domains, virtual_mailboxes, virtual_aliases 설정 포함.
리눅스에서 메일 서버 구축하기 #6: Dovecot의 auth-sql.conf.ext 설정과 비밀번호 해싱
Dovecot의 auth-sql.conf.ext 설정과 PostgreSQL을 이용한 비밀번호 해싱 방법을 설명합니다. SHA-256 및 BCRYPT 해싱 적용법을 포함합니다.
리눅스에서 메일 서버 구축하기 #5: Dovecot 가상 사용자 개념과 PostgreSQL 테이블 설계
Dovecot 가상 사용자 개념과 PostgreSQL을 활용한 메일 서버 계정 테이블 설계 방법을 설명합니다. mail_domain, mail_users, mail_alias 테이블을 중심으로 구성합니다.
리눅스에서 메일 서버 구축하기 #4: Dovecot 필수 설정 파일 분석
Dovecot 필수 설정 파일을 분석하여 메일 서버 운영에 필요한 핵심 설정을 정리합니다. 가상 사용자 환경과 Postfix 연동을 포함하여 실전 적용 방법을 제공합니다.
리눅스에서 메일 서버 구축하기 #3: Dovecot 설정 파일 구조와 적용 방식
Dovecot 설정 파일 구조와 적용 방식을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 dovecot.conf와 conf.d/ 디렉터리 구조, !include 사용법, 설정 파일 적용 순서까지 상세히 설명합니다.
리눅스에서 메일 서버 구축하기 #2: 가상 사용자 환경을 위한 필수 패키지
Postfix와 Dovecot을 활용한 가상 사용자 환경의 메일 서버 구축을 위한 필수 패키지를 정리합니다. LMTP와 보안 패키지까지 포함된 상세 가이드.
리눅스에서 메일 서버 구축하기 #1: Postfix와 Dovecot의 개념 이해하기
Postfix와 Dovecot은 메일 서버 구축의 핵심 요소다. 이 글에서는 Postfix를 우체국, Dovecot을 우체부 아저씨에 비유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